메뉴 건너뛰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행사·기타
2020.12.21 11:59

20201221 2020 주님 성탄 대축일 사목서한

조회 수 628 추천 수 0 댓글 0
Extra Form
URL https://www.youtube.com/embed/0TZE6FqhJx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형제애로 이웃을 바라봅시다.


  코로나19로 인한 불안한 현실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백신 개발 등으로 코로나 시대가 끝난다 해도 결코 예전 생활로 돌아가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감염성이 무서운 이 바이러스는 교회가 전례뿐만 아니라 소공동체 모임과 레지오를 비롯한 여러 만남을 가로막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럴수록 우리 자신에게는 올바른 시대적 징표를 바라보며, 참다운 그리스도인으로서 살아가야 할 소명이 주어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성전에서만 이루어지던 사목이 개개인의 일상 안으로 구체적으로 다가가야 하겠습니다. 특히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향해 우리의 손과 발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우리의 눈과 귀가 그들을 향해 있고, 우리의 의식과 마음이 “형제적 사랑”으로 가득 차야만 합니다. 오늘 우리는 포대기에 싸여 구유에 누운 아기 예수님을 바라봅니다. 사람이 되어 오신 하느님께서는 한없이 나약하고 작은 모습으로 오셨습니다. 그 모습은 우리 안에 있는 연민과 사랑을 건드려 깨웁니다. 바로 아기 예수님을 바라보는 것처럼 우리는 우리 자신과 이웃을 다시 보도록 합시다. 


  지난 한 해 동안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우리 인간들이 저지르는 비인간성의 행태를 무수히 접할 수 있었습니다. 성 차별적인 문화 안에서 폭력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저질러진 범죄들, 엽기적인 살인사건들, 가정 파괴로 일어나는 죄악들, 복지의 사각지대에 있는 이에 대한 외면, 각종 재해에도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들, 개발론자들의 탐욕이 부른 환경 파괴들, 일부 종교인들조차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일들, 국민을 돌보지 않는 여·야 정치 세력의 자기중심적인 모습 등을 바라보며 ‘과연! 우리 인간이 이러고도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된 피조물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죄 많은 우리 인간임에도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사랑하시어 우리를 구원하시고자, 우리와 같은 사람이 되시어 우리 가운데로 오셨습니다. 이렇게 하느님께서 인간이 되신 강생육화(降生肉化)의 참 의미는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가 다시금 새로운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일그러진 모든 상황을 당신의 크신 자비와 사랑으로 회복시키시고 우리를 구원받은 은총의 존재로 되돌려 놓으신 것입니다. 더 이상 죄의 노예 상태가 아니라 참된 자유의 사람으로 불러주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느님의 아들이신 예수님의 탄생으로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가 새롭게 되었으니, 우리 사이에서도 이를 새롭게 하는 관계로 만들어가야 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나 혼자만의 세상이 아닙니다. 내 가족, 내 지역만을 위한 것도 아닙니다. 특히 제주 사회는 아직도 풀어야 할 많은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최근 제2공항 갈등을 비롯하여 여러 개발에 따른 후유증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지혜롭게 길을 걸어가야 하는지가 우리 미래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역사 안에서 제주4.3의 온전한 해결을 위한 후속 조치로 국회에서 진행하고 있는 4.3특별법의 개정을 통해 제주도민의 오랜 아픔과 상처를 치유할 기회를 찾는 일도 중요한 우리의 책임임을 깨닫게 됩니다.  


  우리 인간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에게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권력과 명예, 재산과 지식, 업적과 재능 등 풍요롭고, 편리하고, 아름다운 것들에만 기울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사람으로 오신 하느님의 진정한 사랑을 이해하는 것은 ‘구유에 누워 계시는 아기 예수님을 찬찬히 바라보며 이 아기가 바로 우리의 식별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하느님이면서도 비천한 인간으로 오신 예수님의 낮추고 비우신 모습처럼 우리의 진정한 사랑이 하느님의 시각으로 사람들을 보고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진정 다른 사람의 삶도 행복한 사랑을 누려야 한다는 “형제애”로 우리는 타인을 대하고 더욱 더 사랑해야 합니다. 고정된 잣대로 서로를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느님 사랑의 눈길을 우리 눈에다 담고, 그분의 자비하신 마음을 우리 안에 품으며 이웃들을 받아들입시다. 그리하여 인간이 되신 하느님 은총을 되새기며, 우리 자신이 기꺼이 다른 이를 돕고자 뻗는 손과 발의 수고로움에 동참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하느님이 사람이 되심으로 우리를 영원한 구원의 시간으로 초대하셨습니다. 경황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삶을 잠시 멈추고 마음을 고요히 합시다. 그리고 포대기에 싸인 아기 예수님을 바라보고 우리 이웃들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우리 주위의 모든 사람들을 선한 마음의 “형제애”로 받아들여 진정한 하느님 자녀 공동체로 가꾸어 나갑시다. 


모든 분들께 “사랑의 형제애”로 기쁜 성탄의 축복이 내리시길 기도합니다. 



                                            2020년 12월 24일     


                                         천주교 제주교구 감목 문창우 비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1 20210102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기념일 -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기념일 - 현경훈(미카엘) 신부 - 2021년 1월 2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1.01.01 615
810 20210101 2021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 2021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 - 2021년 1월 1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 문창우(비오) 주교 사무처 2020.12.31 673
809 20201231 성탄 팔일 축제 제7일 - 20201231 성탄 팔일 축제 제7일 - 최현철(안드레아) 신부 - 2020년 12월 31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30 443
808 20201230 성탄 팔일 축제 제6일 - 20201230 성탄 팔일 축제 제6일 - 현경훈(미카엘) 신부 - 2020년 12월 30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29 527
807 20201229 성탄 팔일 축제 제5일 - 2020년 성탄 팔일 축제 제5일 - 현경훈(미카엘) 신부 - 2020년 12월 29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28 621
806 20201228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 20201228 죄 없는 아기 순교자들 축일 - 최현철(안드레아) 신부 - 2020년 12월 28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27 530
805 20201227 2020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 2020년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 - 현경훈(미카엘) 신부 - 2020년 12월 27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26 501
804 20201226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 2020년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 - 최현철(안드레아) 신부 - 2020년 12월 26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25 603
803 20201225 2020 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 강론 - 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 강론 - 문창우(비오)주교 - 2020년 12월 25일 11시 강정 미사 천막 사무처 2020.12.25 527
802 20201225 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Live) - 주님 성탄 대축일 낮미사 - 2020년 12월 25일 오전 11시 중앙주교좌성당 - 현경훈(미카엘)신부 사무처 2020.12.24 588
801 20200224 문창우(비오)주교 성탄메시지 문창우(비오)주교 성탄메시지 사무처 2020.12.24 608
800 20201224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Live) - 주님 성탄 대축일 밤미사 - 2020년 12월 24일 오후 10시 중앙주교좌성당 - 문창우(비오) 주교 사무처 2020.12.24 635
» 20201221 2020 주님 성탄 대축일 사목서한 형제애로 이웃을 바라봅시다. 코로나19로 인한 불안한 현실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백신 개발 등으로 코로나 시대가 끝난다 해도 결코 예전 생활로 돌아가... 사무처 2020.12.21 628
798 20201126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2-2 -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2-2 - 문창우(비오) 주교 - 2020년 11월 26일 오전 10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17 723
797 20201126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2-1 -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2-1 - 문창우(비오) 주교 - 2020년 11월 26일 오전 10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17 668
796 20201126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1-2 -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1-2 - 강우일(베드로) 주교 - 2020년 11월 26일 오전 10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17 671
795 20201126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1-1 - 2020 성서주간 특강 - 제주 역사를 통해 바라보는 하느님의 구원 강의 1-1 - 강우일(베드로) 주교 - 2020년 11월 26일 오전 10시 중앙주교좌성당 사무처 2020.12.17 659
794 20201104 교구성경특강 : 구약의 율법과 교회법2 - 교구성경특강 : 구약의 율법과 교회법2 - 교구 복음화실장 황태종(요셉) 신부 - 2020년 11월 11일 오전 10시 사무처 2020.12.17 691
793 20201104 교구성경특강 - 구약의 율법과 교회법1 - 교구성경특강 : 구약의 율법과 교회법1 - 교구 복음화실장 황태종(요셉) 신부 - 2020년 11월 11일 오전 10시 사무처 2020.12.17 621
792 20201201 2021년 교구장 사목교서 2021년도 교구장 사목교서 “형제애를 기초로 한 소공동체” 코로나19는 2020년 지구 사회를 참으로 많이도 바꿔 놓았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그 이전의 사회로 되... 사무처 2020.12.17 488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1 Next ›
/ 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