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1 |
정난주(마리아), 대정현에 유배됨 |
1845 |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 제주도 용수리 해안에 표착 |
1857 |
제주도에서 표류한 김기량(펠릭스 베드로), 홍콩에서 세례 받음 |
1858~1866 |
김기량, 귀국한 뒤 제주에서 복음 전파 활동 |
1866 |
김기량, 병인박해 때 통영에서 체포되어 순교 |
1898 |
육지에서 세례 받은 양용항(베드로), 제주에서 전교 |
1899 |
‘제주본당’ 설립. 페네 신부와 김원영 신부 부임 |
1900 |
‘한논(현, 서귀포시 호근동)본당’ 설립 |
1901 |
신축교안(辛丑敎案) 발생. 수백 명의 신도 희생 |
1902 |
한논본당을 홍로로 이전. ‘홍로본당’ 시작 |
1903 |
신축교안 희생자의 매장지를 황사평으로 결정 |
1909 |
‘신성여학교’ 설립 인가 |
1911 |
‘대구교구’(대목구) 설정. 제주교회, 새 교구로 편입됨 |
1916 |
제주교회, ‘목자 없는 공소 시기’. 목포 산정동 본당 관할 편입 |
1922 |
제주교회, ‘겸임신부 시기’ |
1929 |
고군삼(베네딕토), 제주출신 첫 사제 수품 |
1933 |
‘전라남도 감목대리구’ 설정. 제주교회, 전남 감목구에 편입됨 |
1934 |
도슨 신부 등 성 골롬반 외방선교회 선교사, 제주교회에 첫 부임 |
1937 |
‘광주교구’(지목구) 설정. 제주교회, 광주교구에 편입됨 홍로본당, 서귀포로 이전. ‘서귀포본당’ 시작 |
1941 |
도슨·스위니·라이언 신부 및 신자들, 일제에 의해 간첩혐의로 체포·구금됨. 제주·서귀포본당 사제 공석 |
1945 |
8·15 광복. 광주교도소 수감 중인 신부 및 신자들 석방 제주본당 부활. 신성여학교 환수 |
1946 |
‘신성여자중학원’ 개원 |
1947 |
‘신성유치원’ 개원 |
1949 |
‘신성여자초급중학교’ 인가 |
1951 |
대신학교(성신대학) 및 소신학교(성신중학교), 제주피난학교 개설 |
1952 |
서귀포본당, ‘해성유치원’ 개원 신창준본당, ‘신창본당’ 승격 |
1953 |
‘신성여자고등학교’ 병설 인가 |
1954 |
‘한림본당’ 설립 |
1955 |
‘레지오마리애’ 도입 |
1956 |
‘제주 감목대리구’ 설정 |
1958 |
‘모슬포본당’ 설립 |
1962 |
임 피제(맥글린치) 신부, ‘성 이시돌 농촌산업개발협회’ 설립 |
1967 |
고승욱(아우구스티노) 부제, 독일에서 사제 수품(두 번째 제주출신 사제) |
1968 |
‘동문본당’ 설립. 제주본당, ‘제주중앙본당’으로 개칭 |
1969 |
신성여학교, 중학교와 고등학교 분리 |
1970 |
‘서귀중앙본당’ㆍ‘광양본당’ 설립 |
1971 |
‘제주지목구’ 설정 (초대 주교 : 현 하롤드 대주교) 주교관 완공 (제주시 용담1동) |
1973 |
‘성산포본당’ 설립 |
1977 |
제주지목구, ‘제주교구’로 승격 (박정일 주교, 제2대 주교로 임명됨) ‘서문본당’ 설립 |
1979 |
‘교구 평신도사도직협의회’ 설립 |
1980 |
제주 ‘치명자의 모후’ 꼬미시움 승인 |
1981 |
서귀중앙본당, ‘서귀복자성당’으로 개칭 ‘신제주본당’ 설립 |
1983 |
김창렬(바오로) 주교, 제3대 주교로 임명됨 |
1984 |
한국천주교회 창설 200주년 기념 신앙대회, 103위 시성식 가톨릭회관 축복식 |
1985 |
금악준본당, 본당 승격 |
1986 |
제1회 교구 성체현양대회 개최 |
1988 |
‘효돈본당’ㆍ‘중문본당’ 설립 |
1990 |
‘고산본당’ 설립 |
1991 |
‘까리따스 유치원’ 개원 |
1992 |
신축 주교관 축복식 (제주시 아라1동) |
1994 |
교구 순교자 현양대회 및 정난주(마리아) 묘 성역 축성식 |
1995 |
‘동광본당’ 설립 |
1996 |
제주교구(지목구) 설정 25주년 기념 신앙대회 |
1997 |
‘남원본당’ㆍ‘표선본당’ㆍ‘노형본당’ㆍ‘화북본당’ 설립 |
1998 |
‘하귀본당’ 설립 |
1999 |
‘조천본당’ 설립 100주년 기념 순교자 현양대회 및 용수포구 성지 선포식 ‘제주 선교 100주년 기념 신앙대회’ 개최 100주년 기념 제주중앙 주교좌성당 완공 |
2001 |
‘연동본당’ 설립 |
2002 |
강우일(베드로) 주교, 제4대 주교로 임명됨 |
2003 |
신축교안 102주년 기념 심포지엄을 통해 ‘천주교제주교구’와 ‘1901 제주항쟁기념사업회’ 간의 <화해와 기념>을 선포 |
2004 |
‘김녕본당’ 설립 |
2005 |
제주교구와 일본 교토교구의 자매결연 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