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2017 하반기 사제연수>
P. 14

국제법상  국가의  책임은  조약뿐만  아니라  관습국제법에  기하여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4·3사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검토하는  데는  민간인에  대한  살해
                  및  제노사이드의  금지에  관한  관습국제법이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유엔헌장의  인권보장에  관한  규정(1945.10),  △  뉘른베르크  군사재판소  규

                  정이  이미  민간인  살해  등을  인도에  반한  죄로  규정한  점(1945.  11.20),  △  유
                  엔총회가  만장일치로  제노사이드를  국제범죄로  규정한  총회  결의  96(1)  (1946.

                  12.11),  △  유엔총회에서  56개국의  만장일치로  채택한  제노사이드협약(1948.
                  12.9),  △  유엔총회가  채택한  세계인권선언(1948.12.10.),  △  전시  민간인  보호에

                  관한  제네바협약(1949.8.12.),  △  특히  국제사법재판소(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가  1951년에  이미  제노사이드  금지가  관습국제법상의  의무라
                  는  견해를  제시한  점을  고려할  때에,  4·3사건이  발생하기  이전에  이미  제노사

                  이드를  금지하는  관습국제법은  형성되었다.
                                                                1)
                  따라서  제노사이드  협약의  가입에  상관없이  43사건의  책임을  묻게  될  미국과

                  한국은  제노사이드를  금지하는  국제법적  규범에  구속된다.



                  ◇ ILC 국가책임초안

                  2001년  완성된  국제법위원회(International  Law  Commission,  ILC)의  ‘국제

                  위법행위에  대한  국가책임초안(Draft  Articles  on  Responsibility  of  States
                  for  Internationally  Wrongful  Acts,  이후  ‘국가책임초안’)’ 에  따르면  국가기
                                                                                   2)
                  관의  행위는  그  기관이  입법,  행정,  사법  또는  기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든,
                  그  기관이  국가  조직상  어떠한  지위를  차지하든,  국제법상  그  국가의  행위로

                  간주된다.

                  ILC  국가책임초안은  국가가  타국의  위법행위에  관여한  경우의  책임에  관하여
                  규정을  두고  있다.

                  첫째,  타국의  국제위법행위의  실행을  원조  또는  지원한  국가는  그러한  행동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이  경우에  실제로  위법행위를  한  국가는  타국이므로  원조

                  또는  지원국은  기여  부분에  한하여  책임을  부담한다.




                  1)  오승진.  “국제법상  제노사이드금지와  국가의  책임”.  제주4·3  70주년기획단  토론회,  발표자료.  2016.
                     7.  23
                  2)  ILC가  작성한  국가책임초안은  아직  조약이  아니므로  법적인  구속력이  없는  것이지만  오늘날  국가책임
                    의  설명을  위한  기초가  되고  있다.


                                                         -  14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