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2017 하반기 사제연수>
P. 9

제주도에서와  같이  격렬한  대중적  저항은  지구상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다.
                    43폭동의  의의는  섬이란  협소한  장소에  극한된  것이  아니라  2차  대전  이후  식민지적  구조
                     를  다시  부과하려는  시도들에  대해서  여타의  아시아  국가에서  일어난  많은  봉기  중의  하나
                     에  속한다.

                      43폭동은  한국에서  좌우간의  대립을  격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대의  한국정치의
                     난맥상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제주4·3 폭동’

                  1948년  4월  3일  한라산  무장대가  12개  경찰지서에  대한  습격이  있은  직후인

                  4월  5일  조병옥(趙炳玉)  경무부장은  ‘5·10  총선거  촉진  대강연회’  석상에서
                  “제주도에서  총선거  반대  폭동”이  일어났다고  말했다.  4월  3일의  무장대  습격

                  을  미군정  경찰은  즉각  ‘폭동’으로,  무장대를  ‘폭도’로  규정한  것이다.
                  당시  언론은  이러한  경무부의  발표를  수용하여  ‘제주도  폭동사건’,  ‘전도에  걸

                  쳐  봉기된  제주도의  공산계열  폭동’,  ‘제주도  반선(反選)  폭동사건’  등으로  보
                  도하였다.

                  4·3폭동의  용어는  5·16  군사  쿠데타  이후  일반화  되었다.

                  1960년  4·19혁명  직후  잠시  열렸던  4·3  해결의  물꼬는  다음해  일어난  5·16  군
                  사  쿠데타로  좌절되었다.  이로부터  20여  년간  군부독재의  억압체제  속에서
                  4·3  논의는  금기시되었다.  반공법·국가보안법과  연좌제의  억압기제는  4·3에  대

                  한  발설조차  할  수  없도록  했다.



                  △  1967년  국방부에서  펴낸  『한국전쟁사』는  4·3을  ‘제주도  폭동’이라고  규정

                      하면서  4·3을  제주도  남로당  세력이  대한민국의  건국을  방해하기  위하여
                      일으킨  ‘폭동’으로  서술하고  있다.  군사정권  하에서  ‘4·3은  북한의  사주를

                      받은  폭동’으로  규정한  획일화된  공적  인식만이  통용되었다.
                        우리나라의  민주화가  진전되는  과정에서도  국가  공공기관은  폭동의  인식에

                      서  벗어나지  못했다.

                  △  1988년  국방부에서  펴낸  『대비정규전사(對非正規戰史』에는  “4·3폭동사건은
                      해방  후  사회의  혼란기를  이용하여  소수의  공산분자들이  순박하고  가난한

                      섬사람들의  이익을  보호한다는  미명  아래  제주도를  공산화하려고  획책한
                      사건”으로  서술되었다.

                  △  1994년  제주지방경찰청에서  발간한  『제주경찰사』는  기존의  폭동  인식을  고
                      수하여  4·3단체의  항의를  받았다.



                                                          -  9  -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