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2017 하반기 사제연수>
P. 12

정부의  공식  보고서를  확정했다.  「4·3진상조사보고서」는  특별법에  근거해서

                  ‘제주4·3사건’이란  명칭을  사용했다.
                  보고서는  4·3의  성격에  대하여  첫째,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  이후의  탄

                  압에  대한  무장봉기가  있었고,  둘째,  1954년까지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요약하고

                  있다.



                  ※  참고  :    제주43사건진상규명동지회,  “호소문”(제주신보  1960.  5.  26)


                  ◇ ‘제주4·3항쟁’


                  4·3을  민중항쟁으로  바라보는  인식은  1980년대  후반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열기  속에서  대두하였다.  1987년  4월  3일  제주대학교  총학생회는  4·3  발발  이

                  후  처음으로  위령제를  학내에서  개최하였다.

                  당일  위령제  주최  측인  총학생회·여학생회·써클연합회·인문대학생회·사회과학대
                  학생회는  공동명의로  4·3  관련  대자보를  학내에  게시하였다.

                  당시  작성된  대자보에는  4·3의  성격을  ‘민중항쟁’으로  표기함으로써  당시  ‘폭
                  동’만  허용되던  공적  인식에  정면으로  대항하였다.

                  이  ‘4·3  대자보’  게시로  그해  4월  15일  여학생회장과  사회과학대  홍보부장이
                  경찰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다.  학생들은  이후  중간고사  거부를  통해  ‘민주제

                  개헌  쟁취  투쟁’을  이슈로  내걸고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그해  6월  항쟁을  거치면서  4·3은  자연스럽게  학생운동과  사회운동  진영에서
                  항쟁으로  인식되어  갔다.

                  1980년대  후반의  격렬한  민주화운동의  분위기는  4·3  연구에도  곧바로  반영되
                  었다.  1988년  소장학자들이  민중항쟁론의  입장에서  4·3의  배경,  전개  과정을

                  다룬  논문이  발표되었다.
                  1989년  제주지역의  재야운동단체들은  ‘사월제공동준비위원회’를  결성하고,  제1

                  회  ‘제주항쟁추모제’를  제주시민회관에서  열었다.  이  행사  직후인  5월  10일
                  ‘제주4·3연구소’가  발족되면서  4·3연구소를  비롯한  재야단체들은  4·3을  항쟁으

                  로  인식하고,  그  지평을  넓히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4·3의  항쟁  인식은  국가가  주도하는  공적  인식과  대립하며  갈등을  빚고  있으

                  나  일부  학자들은  항쟁론을  고수하고  있다.






                                                         -  12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